미국 OASDIOld-Age, Survivors, and Disability Insurance 캐나다 CPPIBCanada Pension Plan Inverstment Board 일본 GPIFGoverment Pension Investment Fund 노르웨이 GPF-GGoverment Pension Fund-Global 네덜란드 ABPStichting Pensioenfonds ABP
세계지도

미국 국기

미국 OASDI

Old-Age, Survivors, and Disability Insurance

지배구조

CalPERS는 국가 내 연금 시스템 2층에 해당하는 직역연금으로 1932년 미국 California 주의 공공부문 근로자 및 은퇴자, 그들의 가족의 퇴직 급여를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음

  • 연금재정 방식은 기본적으로 확정급여형(DB)로 설정되어 있으나, 가입 기간 및 급여 산식 그리고 옵션 조항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연금플랜 설계가 가능함

California 헌법에는 CalPERS 관리이사회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내용이 법률로써 제정되어 있음

  • 이에 따르면 관리이사회 구성원은 총 13인으로 가입자에 의한 선출직6(캘퍼스2, 주정부1, 교직원1, 공무원1, CalPERS 퇴직자1), 임명직3(주지사지명2, 의회지명1), 당연직4(재무(state treasurer), 주 관리자(state controller), 인사 대표, 국무원 대표))으로 구성되어 있음
  • 이사회 구성원에게는 기금 운용 전반과 연금 수급에 대한 관리, 의료, 보건 프로그램에 대한 모든 책임이 부여됨
  • 그리고 관리이사회 멤버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위원회 및 특별위원회에 구성원으로서 참여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그림] CalPERS의 지배구조

지배구조-이미지상세 내용은 다음글을 확인해 주세요.
지배구조
관리이사회 아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하위원회(6)
    • 1) 이사회 위원회
    • 2) 재무&관리 위원회
    • 3) 투자위원회
    • 4) 연금&보건 위원회
    • 5) 성과, 보상 인재관리 위원회
    • 6) 위험, 감사 위원회
  • CEO
    • 투자(CIO) Officer
      • 기금운용조직(INVO)
    • 계리 Officer
    • 금융 Officer
    • 운영&기술 Officer
    • 기업 컴플라이언스 Officer
    • 법무 자문관
    • 커뮤니케이션 이해 관계 Officer
    • 고객지원 & 서비스 Officer
    • 건강 정책 및 혜택 Director

자료 : CalPERS 홈페이지

기금규모

FY2018 기준, CalPERS의 자산은 약 376.3 십억 USD 규모로
  • CalPERS PERF 자산은 과거 2013년 이후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6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

[표] CalPERS 자산 규모 추이

(단위 : 십억 USD)

CalPERS 자산 규모 추이 :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자산 규모 301.1 302.0 326.4 358.0 376.3
  • 주1) CalPERS는 6월 결산으로 전년 7월부터 당해 연도 6월까지가 회계연도이나 비교를 위해 동년 12월말 기준으로 준용함
  • 주2) CalPERS의 자산규모는 연차보고서상 보고 방식(Reporting Methods), 예를 들어 채권/채무(Receivables/Payable), 대출 담보(Lending Collateral 등의 반영 여부로 인해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시된 수치는 채권/채무는 포함, 대출 담보는 미포함된 수치임
  • 자료 :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단위 : 십억 USD)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2014년 301.1십억, 2015년 302.0십억, 2016년 326.4십억, 2017년 358.0십억, 2018년 376.3십억
  • 자료 :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기금수익률

FY2018 기준 CalPERS PERF(Public Employees’ Retirement Fund)의 기금 운용 총 수익률은 6.7%로 2017 회계연도 운용 수익률(8.6%) 대비 다소 저조한 성과를 보임

[표] CalPERS 총 수익률 추이

(단위 : %)

CalPERS 총 수익률 추이: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총 수익률 2.4 0.6 11.2 8.6 6.7
  • 주1) CalPERS는 6월 결산임(2014년 회계연도 말 기준 수익률은 2014.7~2015.6 기간 동안 수익률을 의미함)
  • 주2) 상기 제시된 총 수익률은 PERF 펀드의 운용 수익률을 의미함(PERF 펀드는 CalPERS 보유 자산의 약 97%(2015년 6월 기준) 차지하는 대표 펀드임)
  • 주3) 반올림으로 인한 단수차이 존재
  • 자료 :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단위 : %)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2014년 2.4%, 2015년 0.6%, 2016년 11.2%, 2017년 8.6%, 2018년 6.7%
  • 자료 :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자산배분

CalPERS의 기금 운용 목표는 크게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음

  • 첫 번째는 급여 지급에 필요한 자산의 확보, 가입자 부담 수준의 안정적 유지, 위험 및 유동성을 고려하면서, 최대한 높은 수익률을 추구함
  • 두 번째는 대규모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산투자임

CalPERS의 자산 배분 특성을 살펴보면, CalPERS는 전반적으로 주식투자 비중이 높고, 그 다음으로 채권 투자 비중이 높음

  • 자산군 내 세부 자산 구성을 살펴보면, 2013년 이후 자산군 분류 체계가 변경되었고, 주식(글로벌 주식, 사모주식), 글로벌 채권(인플레이션 자산 포함), 실물자산(부동산, 인프라, 산림), 단기투자(미국 정부 보증 증권, 단기금융자산투자신탁 등)로 구성됨
  • 2012년 이후 주식과 채권은 국내와 해외를 구분하지 않고, 글로벌 주식, 채권으로 통합 보고하고 있음

[표] CalPERS의 자산배분 비중 추이

(단위 : %)

CalPERS 자산배분 비중 추이: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주식 51.0 47.0 44.0 45.0 49.0
채권 26.0 27.0 28.0 30.0 30.0
대체 20.0 19.0 19.0 19.0 18.0
단기 3.0 7.0 9.0 6.0 3.0
  • 주1) CalPERS는 6월 결산으로 전년 7월부터 당해 연도 6월까지가 회계연도이며, 현재(2020.08.11.) 공식적으로 2019 회계연도 운용 관련 수치를 공개하지 않고 있음
  • 주2) 대체 자산군에는 사모 주식, 실물자산이 포함됨
  • 자료 :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 자료 : CalPERS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캐나다 국기

캐나다 CPPIB

Canada Pension Plan Inverstment Board

지배구조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법(CPPIB Act)에 의거하여 오직 투자 의무만을 가지는 기금운용조직인 CPPIB를 설립하고 캐나다 연금수급자와 기여자 소유인 운용 자산을 정부기금과는 엄격히 분리하여 운용하고 있음

1998년 CPP로부터 독립되어 모든 정치적 간섭으로부터 CPPIB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있으며, 주·연방정부의 재무부장관으로 구성된 CPP 스튜어드(대표자), 이사회, 기금운용 집행기구로 이루어져 있음

  •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법(CPPIB Act)은 엄격한 공공책임 체제 하에서 이사회와 경영진이 CPP의 스튜어드 역할을 하고 있는 주·연방정부의 재무부장관(the federal and provincial Finance Ministers)에 대한 책임을 포함하여 성과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함

이사회는 총 11명으로 구성되며, 투자위원회, 감사위원회, 인적자원·보상위원회, 지배구조위원회의 4개 위원회로 구성됨

이 외, CPPIB 투자 관련 내부조직으로 투자기획위원회(IPC, Invest- ment Planning Committee)가 존재하여, 포트폴리오 투자 프로그램 승인, 전략적 투자선택 등을 통해 투자부서의 전체적인 운용 책임을 맡고 있음

[그림] CPPIB 투자 관련 지배구조 현황

CPPIB 투자 관련 지배구조 현황: 이미지 내용은 다음글을 확인해 주세요.
  • 이사회
    • 총 기금 위험한도 승인
    • 투자 정책서 승인
    • 위험 정책 승인
    • 연간 사업계획 승인
    • 주요 투자 및 위탁운용 임용 승인
  • IPC
    • 총 펀드 자산, 통화 및 위험 익스포져 관리
    • 투자 프로그램 승인
    • 투자 배분 승인
    • 전략적 투자 선택
  • 투자부서
    • 총 포트폴리오 운용
    • 곻모시장 투자
    • 투자 파트너십
    • 사모 투자
    • 대체 투자
  • 금융, 분석 및 위험
    • 위험 거버넌스 요소 권고
    • 위험 측정 및 평가 제공
    • 수익률 측정 및 기여도 제공
    • 단기 유통성 요구조건 관리

자료 : CPPIB 연차보고서(2017참조)

기금규모

CPP는 원래 부과방식으로 설계되었으나 사전적립방식으로 개혁되면서 1998년 CPPIB(Canada Pension Plan Investment Board)를 설립하여 기금운용을 위임함

  •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국채 및 지방채에 투자되던 CPP 자금을 2004년 5월 1일부터 2007년 4월 1일까지 CPPIB로 점진적으로 이관하여 주식 등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를 실시

FY2019 기준 410십억 달러(CAD)를 기록하여 전년대비(392십억 달러(CAD)) 17.6십억 달러(CAD) 증가함

  • 기금규모는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그림] CPPIB 기금규모 추이

(단위 : 십억 CAD)

CPPIB 기금규모 추이: 2015년 279십억, 2016년 317십억, 2017년 356십억, 2018년 392십억, 2019년 410십억
  • 주) CPPIB의 결산월은 익년 3월말임
  • 자료 : CPPIB, 각 연도 연차보고서

기금수익률

FY2019 기준, 3.1%의 총 수익률을 기록하며 FY 2018의 9.3% 대비 크게 하락하였음

  • 공모주식, 사모주식의 수익률이 크게 하락한 반면, 시장성 채권 16.1%, 신용물 13.5%로 전년대비 상승하였음
  • 회계연도 기준이 아닌 실제 2019년(2019.1. ~ 2019.12.)의 수익률은 12.6%였으나, 2020.1. ~ 2020.3. 기간에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시장의 급락세로 S&P500 지수가 -11.7%로 하락한 반면 동기간 CPPIB는 -3.7% 수준으로 하락하여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기록함

지난 5년간의 총 수익률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와 같음

[표] CPPIB 총 수익률 추이

(단위 : %)

CPPIB 총 수익률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총 수익률 3.7 12.2 11.9 9.3 3.1
  • 주1) CPPIB 결산 월은 익년 3월말로 타 연기금과 결산 월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운용성과 비교 용이를 위해 동년으로 준용함
  • 주2) 2019 FY 수익률은 비용차감 후 수익률임
  • 자료 : CPPIB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단위 : %)

CPPIB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2015년 3.7%, 2016년 12.2%, 2017년 11.9%, 2018년 9.3%, 2019년 3.1%
  • 주1) CPPIB 결산 월은 익년 3월말로 타 연기금과 결산 월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운용성과 비교 용이를 위해 동년으로 준용함
  • 자료 : CPPIB, 각 연도 연차보고서

자산배분

FY2019 기준, 전체 기금의 자산배분 현황을 살펴보면, 주식 28.2%, 채권 36.3%, 대체 35.5%로 구성됨

  • 2016년 이전 대체투자에는 부동산, 인프라가 포함되었으며, 2016년 이후 총실물자산(부동산, 인프라, 기타), 기타 투자관련 부채, 절대수익추구 전략이 포함됨

2016년 회계 기간부터 자산군 분류체계를 변경함

  • 국내주식(공모, 사모)를 글로벌주식 공모(국내, 해외, 신흥), 사모주식(국내, 해외, 신흥)으로 변경
  • 채권 자산군은 비시장성, 시장성, 기타채권, 단기금융에서 국채(비시장성, 시장성)로 세부 자산군을 일부 통합
  • 실물자산의 경우 부동산, 인프라에서 기타(기존에 사모에 포함되어 있던 천연자원, 농업 투자가 실물자산으로 편입됨)이 추가됨

지난 5년간 자산배분 추이는 다음과 같음

[표] CPPIB 자산배분 비중 추이

(단위 : %)

CPPIB 자산배분 비중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주식 52.3 36.9 38.8 33.2 28.2
채권 26.9 31.4 27.9 31.1 36.3
대체 20.8 31.7 33.3 35.7 35.5
  • 주1) CPPIB의 결산 월은 익 년 3월말임
  • 주2) 2016년 이전 대체투자에는 부동산, 인프라가 포함되어 있으며, 2016년 이후 총실물자산(부동산, 인프라 등), 기타 투자관련 부채, 절대수익추구 전략이 포함됨
  • 주3) 본 자료에서는 신용물 + 채권을 채권비중으로, 이외 사모주식, 실물자산, 기타 투자관련 부채, 절대수익추구 전략은 대체 자산군으로 분류함
  • 자료 : CPPIB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CPPIB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자료 : CPPIB, 각 연도 연차보고서

일본 국기

일본 GPIF

Goverment Pension Investment Fund

지배구조

GPIF는 후생연금보험법(Employees’ Pension Insurance Act(Law No.115 of 1954))과 국민연금법(the National Pension Act(Law No.141 of 1959))에 의거하여 2001년 설립되어 재정안정을 통한 국민의 노후대비를 목표로 공적연금에 해당하는 국민연금과 후생연금 적립액을 운용함

  • 2015년 10월, 후생연금으로 통합된 각 공제연금은 공제조합에서 개별적으로 적립금을 운용하면서도 운용수익률, 기준포트폴리오, 평가방법 등은 '후생연금보험법' 규정에 따라 적립금을 운용·관리함

2006년 4월, ‘연금자금운용기금’에서 ‘연금적립금관리운용독립행정법인’으로 명칭과 조직이 변경되어 독립적으로 출범함

후생노동성(후생노동대신)은 중기목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토대로 GPIF는 중기자산계획을 수립하게 됨

기존 이사장, CEO, CIO의 역할을 모두 맡아 운영하는 이사장 독임제에서 2014년 CIO 별도로 선임하여 역할을 위임함으로써 거버넌스 체계를 변경하였고 2017년 10월부터 기존 ‘운용위원회’에서 합의제 기관인 ‘경영위원회’로 개편하여 운영됨

[그림] GPIF의 지배구조(2017년 이후)

GPIF의 지배구조(2017년 이후): 이미시 상세 내용은 다음글을 확인해 주세요.
GPIF의 지배구조
  • 경영위원회 - 경영위원회 사무실
    • 경영위원장
    • 경영위원
    • 이사장
      • 이사(총무, 기획업무)
      • 이사(관리운용업무) 및 CIO

      하위 구조

      • 심의역
      • 컴플라이언스장
      • 법무부장
      • 총무부
        • 총무과
        • 경리과
      • 기획부
        • 기획과
        • 자금업무과
      • 조사수리실
      • 운용리스크관리실
      • 정보관리부
        • 정보관리보안대책과
        • 시스템관리과
      • 투자전략부
        • 투자전략과
      • 운용관리부
        • 운용지원과
        • 자산관리과
      • 시장운용부
        • 위탁운용과
        • 스튜어드십추진과
      • 대체투자실
      • 인하우스 운용실
      • 감사실
  • 감사위원회 - 감사위원회 사무실

자료 :GPIF 홈페이지

GPIF 내 위치한 경영위원회(經營委員會, Board of Governors)는 이사장과 경영위원 9명(경영위원장 1명, 경영위원 8명)으로 총 10명의 금융·경제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중기계획(기본포트폴리오 등을 포함)의 작성 등 중요사항을 결정하는 역할을 함(2020년 7월 1일 기준)

[그림] GPIF의 지배구조(2017년 이후)

GPIF의 지배구조(2017년 이후): 이미시 상세 내용은 다음글을 확인해 주세요.

[그림] GPIF의 지배구조(2017년 이후) 내용

  • 후생노동성

    공적연금 제도 설계 및 재정계산 GPIF 증기 목표의 설정

    연금적립금관리운용독립행정법인(GPIF)에 운용기탁을 합고 운용수익의 국고를 납부받습니다.

  • 연금적립금관리운용독립행정법인(GPIF)
    • 경영위원회

      경제, 금융, 자산운용, 경영관리 등의 전문가와 이사장으로 구성

      GPIF의 중기계획(기본포트폴리오 등을 포함)의 작성 등 중요사항 관련 결정

      집해부 집행감독

    • 감사위원회

      경영위원회에 의견진술ㆍ감사결과의 보고

      경영위원회 감사

      집해부 감사 등

    • 집해부

      운용수탁기관의 관리 등

    외부 자산운용 기관에 운용 기탁하고 운용수익을 받습니다.

    일부 국내채권의 자가운용

  • 외부 자산운용 기관: 신탁은행, 금융상품취인업자

    금융시장에 증권취인

  • 금융시장: 국내외 채권시장, 주식시장

자료 : GPIF 홈페이지

기금규모

FY2019 기준, GPIF의 기금규모는 150.6조 엔으로 세계 최대 연기금 규모임

적립금은 크게 시장운용분과 재정융자자금특별회계가 발행한 채권인 재투채(FILP bonds : Fiscal Investment and Loan Program bonds)로 구성됨

  • 재투채는 일본의 재무부에서 발행되는 국가 채무 및 국가 재정 투자로서 FY2019 기준 전체 자산에서 0.59%의 비중을 차지함

기금규모 추이를 살펴보면 2015년 이후로 대체적으로 기금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FY2019 기준 전년대비 감소함

[그림] GPIF 자산규모 추이

(단위 : 십억 엔)

GPIF 기금규모 추이: 2015년 134748십억 엔, 2016년 144903십억 앤, 2017년 156383십억 엔, 2018년 159215십억 엔, 2019년 150633십억 엔

자료 : GPIF, 각 연도 연차보고서

기금수익률

FY2019 기준, GPIF는 총 수익률(재투채 포함)은 -5.2%%를 기록하여 전년대비(1.5%) 하락함

  • 지난 5년간(2015. 4 ~ 2020. 3) 총 수익률의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표] GPIF 총 수익률 추이

(단위 : %)

GPIF 총 수익률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총수익률 -3.8 5.9 6.9 1.5 -5.2
  • 주1) 재투채를 포함한 총 수익률임
  • 주2) GPIF는 3월 결산으로 당해 연도 4월부터 익 년 3월말까지의 수치임
  • 주3) 시간가중수익률임
  • 주4) GPIF, 각 연도 연차보고서
  • 자료 : GPIF, 각 연도 연차보고서

(단위 : %)

GPIF, 각 연도 연차보고서: 기금수익률 2015년 -3.8%, 2016년 5.9%, 2017년 6.9%, 2018년 1.5%, 2019년 -5.2%

주) 결산 월은 익 년 3월말 임

자료 : GPIF, 각 연도 연차보고서

자산배분

FY2019 기준, 채권투자(국내, 해외) 비중은 작년 44.6%에서 48.8%(재투채 포함)까지 증가한 반면, 주식투자(국내,해외) 비중은 50.6%에서 48.3%로 감소하였음

  • 전체 기금은 국내채권 24.6%(재투채 포함), 국내주식 23.6%, 해외채권 24.2%, 해외주식 24.7%, 단기자산 2.9%로 구성되어 있음

2020년 3월 GPIF 제4차 중기자산계획(2020.4.~2025.3.) 수정안이 발표됨에 따라 해외채권비중 및 허용한도 폭을 기존보다 확대하기로 결정되었음

지난 5년간 자산배분 추이는 다음과 같음

[표] GPIF의 자산배분 비중 추이

(단위 : %)

GPIF 자산배분 비중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주식 45.8 48.4 50.8 50.6 48.3
채권 53.2 46.6 43.8 44.6 48.8
단기 1.0 5.0 5.5 4.8 2.9
  • 주1) 자산군 분류기준을 단순화하여 재편집 하였음
  • 주2) 국내채권 비중에는 재투채(FILP bonds) 비중이 포함됨
  • 주3) 결산 월은 익년 3월말임
  • 자료 : GPIF, 각 연도 연차보고서
GPIF, 각 연도 연차보고서

자료 : GPIF, 각 연도 연차보고서

노르웨이 국기

노르웨이 GPF-G

Goverment Pension Fund-Global

지배구조

GPFG는 1990년 설립된 정부석유기금(Government Petroleum Fund)의 후신으로 2006년 Government Pension Fund-Global로 개편됨

  • 1995년부터 중앙정부 회계로부터 잉여자금을 이전받아 운영함

노르웨이 국회(Storinget)는 정부연기금법(Government Pension Fund Act)에 근거하여 투자 운용에 대한 책임을 재무부(The Ministry of Finance)에 부여함

재무부는 노르웨이은행(Norges Bank)의 산하조직인 노르웨이 투자운용기관(NBIM; 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에 기금 운용관리을 위탁함

  • NBIM과 국회 의견을 토대로 투자전략을 결정하고, 운용지침에서 투자 전반과 기금의 전략적 벤치마크 지수를 정하고 있음

기금운용에 관한 최고의사결정기구는 노르웨이은행 이사회(Executive Board of Norges Bank)와 감독의회(Supervisory Council)임

노르웨이은행 이사회는 각각 의장과 부의장을 담당하고 있는 총재와 부총재(2명)를 포함하여 총 8명으로 구성됨

이사회 산하에는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의결권위원회, 위험 및투자 위원회 소위원회(4개)를 두고 있음

[그림] GPFG의 조직도

GPFG의 지배구조(2017년 이후): 이미지 상세내용은 아래글을 확인해 주세요.
GPFG의 지배구조(2017년 이후)
  • 이사회(Executive Board): 총재(의장), 부총재(부의장1), 부총재(부의장2)
    • 감독의회(Supervisory Council) - 감독의회 사무소
    • 감사위원회
    • 보상위원회
    • 의결권위원회
    • 위험 및 투자위원회
    • 사무국
    • 노르웨이 중앙은행
      • 금융 안정
      • 통화 정책
      • 시장 및 ICT
      • Corporate and Shared Services
    • NBIM
      • 배분 전략
      • 자산 전략
      • 부동산 전략
      • 위험
      • 기업 거버넌스
      • 운영
      • 인사
      • 재무
      • 컴플라이언스 및 통제

자료 : Norges Bank 페이지(2019. 3. 17일 반영)

기금규모

FY2019 기준 10,088십억 NOK를 기록하여 전년대비(8,256십억 NOK) 1,832십억 NOK가 증가함

  • 일본에 이어 세계 2위 규모임

지난 5년간 기금규모 추이는 다음과 같음

[그림] GPFG 기금규모 추이

(단위 : 십억 NOK)

GPFG 기금규모 추이: 2015년 7475십억, 2016년 7510십억, 2017년 8488십억, 2018년 8256십억, 2019년 10088십억
  • 주) 결산 월은 각 연도 12월말 기준
  • 자료 : GPFG, 각 연도 연차보고서

기금수익률

기금 전액을 해외에 투자하고 있는 GPFG의 경우 자본유입 및 환율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국제통화(International currency)기준으로 수익률을 공시함

※ 국제통화 기준 수익률 : 기금의 벤치마크지수에 포함된 통화의 가중결합으로 구성된 수익률을 말하는 것으로 기금의 통화바스켓(Currency Basket)은 36개의 통화로 구성됨(2019년 12월말 기준)

FY2019 기준 GPFG의 기금투자 수익률은 20.0%의 총 수익률을 기록하였으며, 세부 자산별 수익률은 주식 26.0%, 채권 7.6%, 부동산 6.8%를 기록함

  • 지난 10년간(2010~2019년) 시간가중 평균수익률은 7.8%임

GPFG의 총 수익률 추이는 다음과 같음

[표] GPFG 총 수익률 추이

(단위 : %)

GPFG 수익률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총수익률 2.7 6.9 13.7 -6.1 20.0
  • 주1) 결산 월은 각 연도 12월말 기준
  • 주2) 총 수익률은 국제통화(International currency) 기준 수익률임. GPFG 기금은 해외증권에 투자되므로 수익률은 기금의 벤치마크지수에 포함된 통화의 가중결합으로 구성된 국제통화로 측정됨.
  • 자료 : GPFG, 각 연도 연차보고서

(단위 : %)

GPFG, 각 연도 연차보고서: 2015년 2.7%, 2016년 6.9%, 2017년 13.7%, 2018년 -6.1%, 2019년 20.0%
  • 주) 결산 월은 각 연도 12월말 기준
  • 자료 : GPFG, 각 연도 연차보고서

자산배분

GPFG는 전액 해외투자 되고 있으며, 운용지침에 따르면, 주식에 60~80%, 채권에 20~40%, 부동산에 최대 7%로 투자할 수 있음

  • 1998년 포트폴리오의 주식 투자 비중을 40%로 허용, 2000년에 주식 벤치마크에 이머징 시장의 주식 포함, 2002년 비정부채권 투자 개시, 2007년 주식 투자 비중을 60%로 확대하였음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해 2019년 12월말 기준, 기금 자산은 주식 70.8%, 채권 26.5%, 비상장 부동산 2.7%에 투자되고 있음

  • 비교적 단순한 포트폴리오 구성만을 공시하고 있으며, 채권과 주식 비중이 97% 가까이 됨

비상장 부동산 투자는 2011년에 개시하여 부동산 투자를 전담하는 분리된 조직(NBREM)을 설치하는 등 부동산 투자 확대를 시도하였으나 2019년 4월 1일자로 NBIM에 통합하여 운용함

[표] GPFG의 자산배분 비중 추이

(단위 : %)

GPFG 자산배분 비중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주식 61.2 62.5 66.6 66.3 70.8
채권 35.7 34.3 30.8 30.7 26.5
기타 3.1 3.2 2.6 3.0 2.7
  • 주1) 결산 월은 각 연도 12월말임.
  • 주2) 기타는 비상장 부동산을 의미함
  • 자료 : GPFG, 각 연도 연차보고서
GPFG, 각 연도 연차보고서

자료 : GPFG, 각 연도 연차보고서

네덜란드

네덜란드 ABP

Stichting Pensioenfonds ABP

지배구조

ABP는 네덜란드 공무원·교직원의 노후 생활 보장을 위해 설립된 직역연금으로, 주된 역할은 연금, 재정, 기금, 투자 정책 등을 수립하고, 기금운용공사 APG를 관리·감독함

  • 2008년 ABP는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자산운용을 위해 내부 행정조직이었던 APG를 분리하고, 기금운용 및 서비스에 대한 역할을 위임함

ABP는 Privatization ACT에 따라 독립법인으로서 권한과 역할을 부여 받음(ABP는 1922년 설립 당시에는 내무부 장관의 지배를 받는 구조였으나, 1996년 1월 주요 역할을 유지한 채 민영화됨)

ABP는 역할과 책임에 따라 크게 수탁자위원회와 하부 위원회, 사무국 그리고 기금운용 위탁조직 등으로 구분됨

  • 한편, 수탁자위원회는 ABP 최고 의사결정위원회로 총 13명의 멤버로 구성됨
  • 위원회 구성원은 독립된 의장 1명(각 고용주 및 고용인 그리고 가입자 대표와는 관계가 없는 독립된 의장)과 고용주 단체인 VSO에서 임명된 5명,
  • 그리고 근로자 및 가입자를 대표하는 노동조합(trade union)에서 선출된 7명(근로자 대표 4명, 연금 수급자 대표 3명)으로 구성됨
  • 한편 2014년 7월 이후 지배구조 강화법에 제정에 따라 수탁자위원회에 수급자 대표가 포함되었음

[그림] 네덜란드 ABP의 지배구조

네덜란드 ABP의 지배구조
네덜란드 ABP의 지배구조
  • 감독이사회(Supervisory Board)
    • 자문
      책임기구(Accountability Body)
    • 자문/인증
      감사, 계리(Auditors/Actuary)
    • 내부감독
      수탁자위원회(ABP Board of Trustees)
      • 위험 및 대차대조표 위원회
      • 기금정책위원회
      • 투자정책위원회
      • 감사위원회
      • 소청심사위원회
      • 사무국
    • 운용
      기금운용조직 APG

자료 : ABP, 연차보고서(FY 2019)

기금규모

FY2019 기준 ABP 자산 규모는 약 465.6 십억 유로이며, 2011년 이후 연금 자산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표] ABP 기금의 자산규모 추이

(단위 : 십억 EUR)

ABP 자산 규모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자산 규모 351.4 381.8 408.8 399.0 465.6

자료 :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단위 : 십억 EUR)

ABP 기금규모 추이: 2015년 351.4십억, 2016년  381.8십억, 2017년 408.8십억, 2018년 399.0십억, 2019년 465.6십억

자료 :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기금수익률

FY 2019년 ABP의 기금운용 수익률은 16.8%로 전년인 2018년 기금운용 수익률(-2.3%) 전년대비 19.1%p 상승하였음

모든 자산에서 전년대비 크게 수익률을 기록하였으며, 그 중 선진주식 28.2%, 이머징주식 25.3%를 기록함

[표] ABP 총 수익률 추이

(단위 : %)

ABP 수익률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총 수익률 2.7 9.5 7.6 -2.3 16.8
  • 주1) ABP 총 수익률은 순투자수익률+이자율 헤지 수익률임
  • 주2) 단수 올림에 의한 차이 존재
  • 자료 : ABP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단위 : %)

ABP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2015년 2.7%, 2016년 9.5%, 2017년 7.6%, 2018년 -2.3%, 2019년 16.8%

자료 : ABP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자산배분

ABP의 기금운용 목표는 급여의 실질 가치 보존으로, 기금은 매 3년마다 전략적 투자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 ABP는 전략적 투자 계획 수립 시 연금 자산과 연금 부채와 관련 사항을 고려하고 있음

ABP는 FY 2015년 이후 일부 자산군 분류 체계가 변경되었음

  • 2015년 이후 정부채를 Government bonds와 Long-term government bonds로 구분하였고, 2016년 이후에는 물가연동(Inflation-linked bonds) 자산군이었던 물가연동채권이 채권으로 재분류 되었음

[표] ABP 자산배분 비중 추이

(단위 : %)

ABP 자산배분 비중 추이: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년도의 목록입니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주식 30.2 33.7 35.3 33.3 32.5
채권 33.7 39.4 36.8 40.2 39.0
대체 36.1 26.9 28.0 26.5 28.4
  • 주1) ABP의 대체자산은 부동산, 대체자산(사모펀드, 헷지펀드, 인프라, 상품, 기회펀드), 오버레이를 포함하고 있음
  • 주2) 2016년부터 총 대체에서 부동산을 별도 자산군으로 구분하고, 물가연동채권을 채권 자산에 편입시키는 등 자산군 분류 체계를 재조정함
  • 주3) 반올림에 의한 단수차이 존재
  • 자료 : ABP, 각 연도 연차보고서
ABP, 각 연도 연차보고서

자료 : ABP 각 연도별 연차보고서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

현재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현재 0byte / 최대 4000byte(한글 2000자, 영문 4000자)

국민연금 고객센터

상담전화는 국번없이 1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