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프로젝트 2017-05) 영국의 공사적 연금제도 연구
작성부서
국민연금연구원
등록일
조회수
1402
작성자
정인영, 정창률
연락처
063-713-6778
내용

목 차Contents

요 약 1

. 서 론 45

. 영국 노후소득보장체계 개관 및 역사적 발전과정 49

1.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조 49

2. 역사적 발전과정 53

. 영국 공적연금의 역사 53

. 영국 사적연금의 역사 63

. 영국의 공적연금제도 73

1. 공적연금제도의 현황 73

. 공적연금의 종류 73

. 적용체계 73

. 급여체계 76

. 재원조달 82

. 관리체계 84

2. 공적연금제도의 평가 85

. 영국의 사적연금제도 89

1. 영국 사적연금의 구조 89

2. 영국의 Workplace Pension(기업연금) 91

. Workplace Pension의 현황 92

. Workplace Pension의 평가 111

3. 영국의 개인연금 113

. 개인연금의 현황 113

. 개인연금의 평가 117

4. 사적연금 관리감독(규제) 118

. 조세 감면(tax relief) 118

. 감독체계 119

. 통산 124

. 수수료 124

. 기타 127

. 기타 노후소득보장제도 129

1. Pension Credit 129

2. 기타 134

. 우리나라 공·사적 연금제도 내실화에 주는 시사점 및 결론 137

1. ·사연금의 보편성 137

2. ·사연금의 급여 적정성 142

3. ·사연금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152

4. ·사연금의 관리체계 155

5. ·사연금의 역할 분담 158

참고문헌 165

부 록 169

표 차 례

 

<-1> 기업연금의 실제 가입자(active members) 추이 59

<-2> 2층연금 가입자 추이 69

<-1> 국민보험 가입유형 및 적용대상 74

<-2> 경제활동 인구 대비 국가기초연금 수급요건 충족자 비율 77

<-3> 평균 국가기초연금 급여액(2015년 기준) 78

<-4> 국가기초연금의 남녀 급여 수급율 78

<-5> 경제활동 인구 대비 국가이층연금(적용제외 사적연금 포함)
수급요건 충족자 비율 79

<-6> 국민보험 가입유형 별 보험료율(2017/2018) 83

<-7> 공적연금 관련 예산(2016-17년도) 84

<-1> 기업연금의 실제 가입자(active members) 94

<-2> NEST 탈퇴(opt-out)를 선택하는 이유 96

<-3> Workplace Pension이 있는 근로자의 가입 비중(2015) 98

<-4> 성별 및 주당소득에 따른 Workplace Pension 가입자 비중 99

<-5> DB 기업연금 급여결정 방식 적용 비율(2014) 101

<-6> NEST의 기여율 변화 104

<-7> 민간부문 기업연금에서 평균(weighted-average) 기여율 105

<-8> 민간부문 기업연금 피용자 기여율 분포 106

<-9> 위험기반 부과금 징수를 위한 그룹 분류 109

<-10> 직종별 개인연금 가입자 추이 114

<-11> 개인연금에 대한 기여 추이 116

<-12> 연금 세금감면(tax relief) 119

<-13> 장기성 보험(연금)의 보상한도 123

<-1> 연금크레딧 수급자수 및 평균 수급액 변화 추이 131

<-2> 연금크레딧 최대 급여액 변화 추이 133

<-1> 연금수급자의 노후소득보장 수단에 따른 소득수준별
급여 수급 비율(2014) 144

<-2> 연금수급자의 소득수준별 급여 수준 145

<-3> 2014-15년 빈곤율 146

<-4> GDP 대비 공적연금 지출 추계 153

 

그 림 차 례

 

<그림 -1> 영국의 20164월 이전 노후소득보장체계 52

<그림 -2> 영국의 현행 노후소득보장체계(20164월 이후) 52

<그림 -1> 영국 SERPS, S2P의 적용 및 적용제외 추이 75

<그림 -2> 연금수급자 집단과 국가연금 수급자 변화 추이 81

<그림 -3> 영국 노인빈곤율 추이(after housing cost) 87

<그림 -1> 영국 사적연금의 유형 91

<그림 -2> 영국 기업연금 가입자 수의 변화 97

<그림 -3> 기업연금의 급여 결정 방식에 따른 가입자수 변화
(민간부문) 98

<그림 -4> 기업연금 수령자들의 주당 급여 분포 103

<그림 -5> 개인연금 수령자들의 주당 급여 분포 115

<그림 -6> 영국의 금융감독체계 개괄 121

<그림 -1> 연금크레딧 수급자 변화 추이(보장크레딧 및 저축크레딧) 132

<그림 -1> 2006~2016년 사이 Workplace Pension 가입자 추이 141

<그림 -2> 사적연금 수급자들의 주당 급여 분포(2015/16) 143

<그림 -3> nSP 도입 이후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하의 소득대체율 148

<그림 -4> 영국의 노인빈곤율 추정(after housing cost) 149

<그림 -5>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이론적) 결합 총소득대체율
(30년 가입시) 150

첨부
프로젝트 2017-05 영국의 공사적 연금제도 연구.pdf
목록
다음글
(프로젝트 2017-06) 우리나라 공사연금제도의 내실화 방안과 정부의 역할
이전글
(프로젝트 2017-04) 독일의 공·사적 연금제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