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Contents
<요 약> 1
Ⅰ. 서 론 27
Ⅱ. 선행연구 검토 29
제1절 국민연금제도와 정책불응 29
1.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 32
가. 국민연금제도 32
나. 국민연금기금 32
2. 국민연금과 세대간 갈등 34
제2절 국민연금 신뢰 관련 조사 및 선행연구 검토 36
가. 국민연금 신뢰 관련 연구 흐름 36
나. 국민연금제도의 신뢰 37
다. 국민연금기금의 신뢰 39
제3절 정책홍보와 대중인식과의 관계 41
가. 정책에 대한 홍보 영향 41
나. 홍보 및 방법과 인식 및 태도 변화 42
Ⅲ. 국민연금 주관적 인식 연구방법 47
제1절 조사의 구성 47
1.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 문헌연구 47
2. 국민연금 주관적 인식 조사를 위한 초점집단면접 수행 47
3. 전문가 자문회의 49
제2절 연구대상자 구성 및 표본 추출 50
1. 연구대상자 구성 50
2. 연구대상자 표본 추출 52
제3절 조사과정 및 자료 처리 56
1. 국민연금 주관적 인식 조사를 위한 초점집단면접 질문 선정 56
2. 국민연금 주관적 인식 조사를 위한 초점집단면접 수행 64
3. 초점집단면접 결과에 대한 내용 분석 65
Ⅳ. 국민연금 주관적 인식의 FGI 질적 분석 67
제1절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 및 태도 67
1. 국민연금의 의미 67
2. 국민연금 관련 정보의 원천 70
3.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수준 71
4. 국민연금에 대한 긍정-부정적 인식 74
5. 노후 준비 관련 국민연금의 중요도 77
6. 국민연금의 생애주기 간 역할 79
제2절 국민연금의 변화에 대한 인식 80
1. 국민연금에 대한 개혁 필요성에 대한 인식 80
2. 국민연금의 개혁 방향성 81
3. 국민연금 개혁과 선거 84
4. 국민연금 vs. 건강보험 85
제3절 FGI 면담결과의 요약 및 소결 86
Ⅴ. 결론 및 제언 89
1.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 및 태도 89
가. 국민연금의 의미 89
나. 국민연금의 중요도 89
다. 국민연금 관련 정보의 원천 90
라. 국민연금에 대한 이해 수준 91
마.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 91
2. 국민연금의 변화에 대한 인식 92
가. 국민연금 제도 변화 필요성 92
나. 국민연금의 제도 변화 방향성 93
3. 제언 93
부록 : 국민연금 관련 좌담회 참석자 선정질문지 97
참고문헌 101
표 차 례
<표 Ⅲ-1> 초점집단면접 집단 구성 52
<표 Ⅲ-2> 연구참여자의 특성(미가입자) 54
<표 Ⅲ-3> 연구참여자의 특성(임의가입자) 54
<표 Ⅲ-4> 연구참여자의 특성(25-34세 직장/지역가입자) 55
<표 Ⅲ-5> 연구참여자의 특성(35-44세 직장/지역가입자) 55
<표 Ⅲ-6> 연구참여자의 특성(45-54세 직장/지역가입자) 56
<표 Ⅲ-7> 일반인 대상 면접 질문지 58
<표 Ⅲ-8> 상담원 대상 면접 질문지 61
<표 Ⅳ-1> 국민연금에 대한 꼴라쥬 결과, 긍정적 이미지 68
<표 Ⅳ-2> 국민연금에 대한 꼴라쥬 결과, 부정적 이미지 69
<표 Ⅳ-3> 국민연금에 대한 인지채널 71
<표 Ⅳ-4> 집단별 국민연금에 대한 인지 수준 73
<표 Ⅳ-5> 집단별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 요약 75
<표 Ⅳ-6> 집단별 국민연금에 대한 긍정적 인식 77